대부분 1) 정보의 비대칭 2) 직무역량 부족 3) 조직 적합도 부분에서 국내 대학 졸업자 대비 평가절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외대 유학생의 경우 위와 같은 이유로, 국내 기업 환경에 대한 전략적 이해와 직무역량 강화 및 조직 정합성 등 보다 초점이 맞추어진 맞춤형 컨설팅이 필요합니다.
해외대 컨설팅
영어교육의 보편화로 점차 취업이 어려운 해외대 출신 유학생은 취업의 관문을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까요? 해외대 출신 유학생은 해외영업만을 지원해야 하는 걸까요? 명문 해외대를 나오고도 최상위 대기업 취업률은 왜 저조할까요? 그 이유가 궁금하다면 지금 오세요.
1
Self - Analysis
우리는 수많은 경험을 하면서 성장해왔습니다. 이러한 과정 속에 정답은 언제나 내 안에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제대로 된 진로 교육받지 못했기에, 그 답을 꺼내는 방법을 모를 뿐입니다. 특히 해외 유학생의 경우, 다채로운 경험은 쌓아왔지만, 막상 이를 나에게 초점을 맞추어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역량으로 전환하는 부분에서 국내 졸업생 대비 부족함이 많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블라인드 채용 및 직무 중심의 검증에 있어, 상대적 약점으로 노출됩니다. 따라서 Self- Analysis 과정은, 유학 경험을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전략적인 전문인으로의 방향을 도출하는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2
Career Position Gap Analysis
해외대 유학생의 경우, 나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국내 기업의 비즈니스 이해도 또한 다소 부족합니다. 특히 국내에서 졸업 전부터 취업 준비를 해온 국내 졸업생과 달리, 해외대 졸업생의 경우 졸업 후 귀국 시점에서 취업 준비를 하기 때문에 재무제표, 현금흐름표 등의 이해도 부족할 뿐만 아니라, 직무에서 요구하는 핵심성과지표에 대한 이해 또한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 통상적으로 국내 구직자 대비 1년 이상 취업 준비가 늦다고 판단됩니다.
이 과정은 나에게 일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직업 로드맵을 가져야 할지 경영자 관점에서 생각해 보고 직무역량을 단계별로 그려보는 과정입니다.
3
Career Framework
인생 직업 프로세스 실행전략 도출 단계입니다. 직업관과 일을 관념화하여 나의 생애 주기별 커리어 전략을 구체화하고 또 필요사항을 점검합니다. 해외대 유학생의 경우 국내 주요 산업/직무별 직무역량 향상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하며, 이를 취업 준비과정부터 계획하고 실행해나가야 합니다. 그러나 정보의 비대칭과 한국 내 네트워크의 부족은 부족한 정보 습득 채널로 귀결되기에 채용 환경에 대한 이해를 갖춘 전문가의 조력이 필요합니다.
4
Personal Branding Strategy
급변하는 상황에 맞추어 나의 커리어를 브랜딩 하는 과정입니다. 나에게 맞는 직무 설정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 과정에 있어 내가 해온 경험들은 어떻게 역량화될 수 있는지, 나에게 적합한 산업은 어떤 곳이 있는지 파악해 보고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또한 취업이라는 단계별 관문보다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커리어 로드맵을 구상하는 단계이기도 합니다. 특히 회사/조직을 떠나 오롯이 나로서 바로 설 수 있는 퍼스널 브랜딩 전략이 이 과정에서 도출됩니다. 이에 더하여 디지털 환경에서의 나를 어떻게 조명할 것인지, 변화하는 직업환경에 나의 역량은 어떻게 변해가야 하는지를 유기적으로 분석 및 제안하는 단계입니다.
5
Best Solution: Career Navigator
위대한 전략의 완성 및 퍼스널 브랜딩 완성의 단계입니다.
해외에서의 풍부한 경험과 비즈니스 역량을 출중히 갖추었으니, 실행에 옮기고 열매를 맺는 단계입니다. 특히 내가 나로서 온전해지며 나의 방향을 결정하고 실행하는 단계입니다. 이제 오롯이 나의 소명과 내면의 힘을 바탕으로 나의 길을 결정하고 나아가야 합니다.
6
TRUST ONE Membership
트러스트원 합격자 커뮤니티 멤버십 서비스는 트러스트원 커리어 그룹에서 엄선한 다양한 직종의 전문가들과의 멤버십을 통해 더 나은 삶과 가치를 전합니다.